본문 바로가기
투자 인사이트/투자 공부

부자가 되고 싶어? 그럼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 전략으로!

by 경제킹 루아빠 2024. 3. 21.

 

[ 목차 ]

     
    안녕하세요. 100억 부자가 될 경제킹 루아빠입니다. 오늘 설명드릴 포트폴리오 전략은 바로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 전략입니다. 제가 현재 연금 펀드에서 투자하고 있는 전략이기도 하며, 기존 올 웨더 포트폴리오가 미국 시장에 직접 투자를 진행했다면(물론 국내상장 해외 ETF로도 투자가 가능했습니다) 지금 소개해드릴 K-올 웨더 포트폴리오는 연금펀드 계좌에서 가능한 전략이니 다음과 같은 분들은 반드시 필독해 주세요! 두 번 세 번 해주세요!
     
     - 연금을 안전하게 투자하고 싶으신 분
     - 예/적금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싶으신 분
     - 위험한 하락장에 마음 편한 투자를 하고 싶은 분
     
    자 그렇다면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 전략 지금부터 시작하겠습니다.
     

    1.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 란?

     
    자산 배분 전략의 대가이신 '김성일 작가'님께서 2022년 'ETF 처음 투자' 책에서 언급해주신 전략입니다. 그 후로 많은 블로그에서 포스팅을 하며 유명세를 떨친 전략이기도 합니다. 이 전략은 기본적으로 올 웨더 포트폴리오에 기반을 두고, 한국 자산이 추가가 된 형태입니다. 구조를 한번 살펴볼까요?
     

    자산 비중
    위험자산 미국주식 17.5%
    한국주식 17.5%
    안전자산 15%
    미국국채 25%
    한국국채 25%

     
    주식 35%, 채권 50%, 금 15%의 자산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올 웨더 포트폴리오와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올 웨더의 간단 버전인 올 시즌 포트폴리오와 더욱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죠? 
     
    우선 자산 구성은 올 웨더 포트폴리오의 기본 구성을 따르는 형태입니다. 주식, 채권, 실물자산(금) 등 경제가 어떠한 상황에 닥쳐도, 서로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을 통해 극복해 내겠다는 전략입니다. 잃지 않는 방어적 성격을 띠는 포트폴리오 전략이다 보니 본질적으로 안전자산의 비율이 65%로 높은 편에 속합니다. 
     

    구분 60/40 포트폴리오 영구 포트폴리오 올 웨더 포트폴리오
    주식 60% 25% 30~35%
    채권 40% 25% 50~55%
    - 25% 15%
    현금 - 25% -

     
     
    3개의 포트폴리오 중 기대 수익률은 주식의 비중이 클 수록 높고, MDD 방어는 안전자산의 비율이 높을수록 안전할 것입니다.
    그래서 대표적 포트폴리오 전략 3개 중 기대 수익률은 [60/40 포트폴리오][올 웨더 포트폴리오][영구 포트폴리오] 순이며, 하락에 대한 방어는 역순으로 [영구 포트폴리오] → [올 웨더 포트폴리오] → [60/40 포트폴리오]라고 생각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 애중간해 보이는 (공격력도 그저~ 수비력도 그저~ 애중간한) 올 웨더 포트폴리오를 60/40이나 영구 포트폴리오에 비해 많은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 일까요? 저는 커스터마이징에 따라 극적인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는 변화무쌍한 전략이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오늘 소개하는 한국형 K-올웨더 포트폴리오 전략을 살펴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지요! 
     
    선진국의 대표적인 시장 [미국]과 이머징에 속해있는 [우리나라]의 주식과 채권을 혼합하여 투자를 한다면 어떠한 성과를 낼까? 에서 출발한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 사실 미국과 우리나라는 서로 상관성이 낮은 편에 속합니다. 한마디로 미국이 오르면 한국은 떨어지고, 미국이 떨어지면 한국도 떨어집... 아니 오르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자 그렇다면,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 전략의 수익률은 어떻게 될까요?

     

     

    2.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 수익률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은 어떨까요?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 수익률 그래프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 수익률(2000~2022) / 신동아

     
    우선 20년간 수익률은 연 복리 7.8%, MDD는 무려 -9.7%를 기록하는 등 경제가 최악의 상황에서도 10% 하락을 하지 않는 엄청 단단한 모습을 보여줬는데요. 연 복리 수익률 7.8%도 꽤 만족스럽지 않나요? 비교를 위해 60/40 포트폴리오와 영구 포트폴리오, 올 웨더 포트폴리오(올 시즌 포트폴리오 ver)를 같이 백테스트 돌려보도록 하겠습니다.
     

    2000~2022 백테스트 결과
      S&P500 60/40 영구 올 웨더 K-올웨더
    연 복리 수익률 6.14% 6.66% 6.57% 5.61% 7.8%
    MDD -50.97% -26.9% -15.58% -20.51% -9.7%

     
     
    놀랍습니다. 닷컴버블의 끝자락, 금융위기, 그리고 코로나 19까지 경제시장을 뒤흔든 어마어마한 사건들이 일어난 2020~22년. K-올 웨더 포트폴리오는 모든 포트폴리오 전략을 물리치고, 수익률과 MDD 부분에 뛰어난 성과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S&P500 시장지수보다 앞서고 있죠? 이것이 바로 제가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는 이유입니다.
     
    물론 시기에 따라 다른 포트폴리오가 빛을 발하고, K-올 웨더가 처참한 성적을 기록할지 아무도 모르는 일입니다. 앞으로 발생할 리스크는 어느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것이지요. 하지만, 3번의 대 위기상황에서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가 가장 잘 버텨주고 수익을 냈다는 점   또한 포트폴리오를 선택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도 사실이지요. 
     


     

    3.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 투자방법

     
    그렇다면,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 투자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의 구성 자산은 모두 국내 상장 ETF를 통해 투자가 가능하며, 위험자산이 35%를 넘지 않아, 연금저축 계좌는 물론 퇴직연금(IRP)계좌에서도 투자가 가능합니다. (IRP계좌는 위험자산의 투자비율이 최대 70%를 넘지 못합니다.) 그럼 어떻게 투자를 해야 하는지 ETF를 통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연금저축 계좌 투자시

     

    자산군 세부화 비중 ETF(시가총액 TOP2 제시)
    주식 미국주식 17.5% TIGER 미국S&P500 or KODEX 미국S&P500TR
    한국주식 17.5% KODEX 200 or TIGER 200
    채권 미국 중기채권 25% TIGER 미국채10년선물 or KODEX 미국채10년선물
    한국 중기채권 25% KOSEF 국고채10년 or ARIRANG 국고채10년액티브
    실물자산 15% ACE KRX금현물

     
     

    퇴직연금(IRP) 계좌 투자 시

     

    자산군 세부화 비중 ETF(시가총액 TOP2 제시)
    주식 미국주식 17.5% TIGER 미국S&P500 or KODEX 미국S&P500TR
    한국주식 0.83% KODEX 200 or TIGER 200
    채권 미국 중기채권 41.67% KODEX 200미국채혼합
    한국 중기채권 25% KOSEF 국고채10년 or ARIRANG 국고채10년액티브
    실물자산 15% ACE KRX금현물

     
    퇴직연금 계좌의 경우 선물 상품을 투자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KOSPI 200에 40%, 미국 채권에 60% 투자하는 KODEX 200 미국채혼합을 41.67% 투자하고, KODEX 200이나 TIGER200의 비중을 17.5%에서 0.83%로 줄이면, 연금저축 올 웨더 포트폴리오 비율과 동일하게 맞춰지게 됩니다. (초보자 분들은 이해보단 그냥 받아들이시기는게 편합니다 ㅎㅎㅎ)
     
    그리고 리밸런싱은 1년 또는 6개월에 한 번씩 진행해 주시면 됩니다. 리밸런싱을 자주 한다고 해서 수익률이 다이내믹하게 변한다거나 MDD가 현저히 감소하지 않습니다. 수수료를 아끼는 측면에서 매달 리밸런싱은 하지 마세요. 기본적으로 3개월, 6개월, 1년 주기 중 하나를 선택해 리밸런싱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5. 마무리

     
    저는 투자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지만, 작년부터 연금저축 계좌에서는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를 통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금적립을 진행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시드가 크지는 않지만, 들어오는 족족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로 적립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를 적용한 지는 1년 정도 되는 것 같은데요. 적용 전부터 S&P500를 투자하고 있어 수익률이 다른 자산들과 다를 수 있습니다.(S&P500 수익률이 조금 더 높게 나온 것 같습니다) 지금 현재 10.47%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배당 포함하면 조금 더 높습니다)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 계좌인증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 경제킹 루아빠 연금계좌

     
    그리고 지금 비율을 보면 주식 비중이 꽤 높지요? 그건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에 강환국 님의 핼러윈 전략을 가미해서 그렇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포스팅으로 설명드릴 예정이며, 지금은 짧게 맛보기만 설명하겠습니다.
     
    할로윈 전략이란? 5월에서 10월까지 주식 수익률이 낮고, 11월부터 4월까지 주식 수익률이 높은 일명 퀀트 전략 중 하나인데요.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에 할로윈 전략을 가미하여, 주식 수익률이 높은 11월에서 4월까지는 주식 비중을 높이고, 채권 비중은 낮추고, 주식 수익률이 낮은 5월에서 10월까지는 채권 비중을 높이고, 주식 수익률을 낮추는 전략입니다. 그래서 저는 1년에 4월에 리밸런싱 1번 진행하고, 10월에 다시 리밸런싱을 진행하여 연 2번 6개월 단위로 리밸런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으로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부터 경제킹 루아빠의 개인적 투자 철학과 의견입니다.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사실 어떠한 포트폴리오 전략이든 완벽한 건 없다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잃지 않겠다는 마음과 꾸준히 하겠다는 의지입니다. 포트폴리오 전략의 대부분은 긴 시간을 지나야 그 가치가 발현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기간 수익을 기대하며, 포트폴리오 전략을 운영하면 분명히 지칠 것이고, 상승장에 포모까지 오며 포기하게 되는 패턴으로 간다 생각합니다.
     
    올 웨더 포트폴리오가 이제 맛이 갔다! 영구 포트폴리오는 이제 통하지 않는다! 이런 말들이 많이 있는데요. 개인적으로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포트폴리오 전략은 안정적인 수익률과 위험을 방어하는데 그 목적이 있기 때문에 그 가치는 잃지 않는다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근로소득으로 벌어들일 나이가 얼마 남지 않아 포트폴리오 투자를 통해 안정적으로 진행해나가고 있지만, 사회초년생의 경우 포트폴리오 투자보단 인덱스 투자를 더 권하고 있습니다.(예 S&P500, 나스닥 100) 잃을 수는 있지만, 그만큼 회복을 위한 시간을 버틸 수 있다는 점! 그렇기 때문에 인덱스 펀드등으로 최소한 시장만큼 수익률을 얻고, TDF 펀드처럼 일정시기에 따라 안전자산의 비율을 점차 늘려가는 포트폴리오 전략을 진행함이 좋다 생각합니다. 물론 시장지수에서 알파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면 그것보다 좋은 건 없겠죠! 언제나 말씀드리지만 투자는 개인의 깊은 고뇌와 판단에 의해서만 진행되어야 함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지금까지 100억 부자가 될 경제킹 루아빠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