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안녕하세요 100억 부자가 될 경제킹 루아빠입니다. 하늘 높이 치솟아 오르는 금 값, 왜 이렇게 금 값이 오르는지 궁금하셨죠? 오늘은 안전자산의 대표 격인 금에 대해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자~ 그럼 금의 세계로 떠나 보실까요?
1. 금 값이 오르는 이유
1997년 발생한 우리나라 IMF(국제통화기금) 사태에 대해 아시나요? 온 국민을 나락으로 빠트린 IMF. 겪어본 분들은 아시겠지만 우리는 '나라의 부도'라는 극도의 불안과 좌절, 그리고 수치감을 한 몸에 느꼈습니다. 이때 대한민국을 구렁텅이에서 끌어올려 준 것이 바로 '금 모으기' 운동이었는데요. 아이의 돌잔치에 받았던 금반지, 패션을 위해 마련한 금 목걸이, 노후를 위해 준비해 놓은 금 동전까지 모두 꺼내어 헐 값에 ㅠ 팔아 대한민국의 부채를 갚기 위해 노력을 했습니다. 외환 보유고가 부족했던 우리나라는 국민들이 한 땀 한 땀 모아준 금을 통해 외화를 확보하고, 전 세계가 놀랄만한 기간에 IMF 부채 상환을 하였습니다. (대~한민국~ )
이와 같이 금은 예로부터 전 세계에서 통용되는 가장 안전한 자산 중 하나로 꼽혀왔는데요. 이는 물가가 상승하면, 그에 대한 헷지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어 왔기 때문입니다. 인플레이션 하면 금 값이 오른다! 통화가치가 하락하면 금 값이 오른다! 공식과도 같은 이야기니까 꼭 기억해주시길 바랍니다. 그렇다면 물가가 떨어지면? 당연히 금 값이 떨어지겠죠! 앞서 금은 안전자산의 대표적인 자산이라 말씀드렸습니다. 그래서 보통 금 값은 안정적인 그래프를 그리며 우상향 할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절대 아닙니다. 저는 주식보다 더 위험한 투자자산 중 하나가 금이 아닐까 생각 합니다. 그 이유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2. 금 값 추이
근 52년 간 금 값의 추이를 보면 충격적입니다. 위험자산의 대표 격인 주식과 비교해도 엄청난 위험을 자랑하고 있는 금. 금 값의 추이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데이터를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1972년부터 2024년 2월까지 기간 동안 연 복리 수익률 7.49%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MDD의 경우는 무려 -61.78% 인데요. 엄청난 하락율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금 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아 올라 연 복리 수익률이 '에게?'라고 하실 수 있지만, 50년간 연 복리 7.49%는 10,000$ 투자 시 52년 후에는 432,316$(43배)로 불어날 정도로 엄청난 수익률을 뜻합니다. 원화로 계산하면 1300만 원 투자 시 5억 7921만 원으로 불어났다고 볼 수 있죠.
<미국 주식시장 vs 장기채권 vs 금 (1972. 1 ~ 2024. 2)>
미국 전체 주식 | 10년물 채권 | 금 | |
연 수익률 | 10.61% | 6.33% | 7.49% |
MDD | -50.89% | -23.18% | -61.78% |
주식, 채권과 비교했을 때 연 수익률은 채권보다 약간 높은 정도인데 MDD는 -61.78%로 주식보다 큰 위험성을 보여줍니다. 금을 투자할 때는 -60%까지 떨어질 각오하고 투자를 해야 된다는 것이죠. 그런데 주식이나 채권처럼 배당도 없기 때문에, 금 값 상승만 바라보고 금 투자만 하는 것은 아주 어리석은 일로 보입니다. 금은 포트폴리오 전략에 한 축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장 유용하고, 급격한 인플레이션 또는 경기침체가 도래하면 채권과 주식의 가격이 급락할 가능성이 있으니 이때 금을 통해 위험을 햇지한다 생각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3. 금 값 향후 전망
무작정 찍어내는 달러, 그로인해 하락하는 달러 가치. 그걸 상쇄하기 위해 현재 전 세계 중앙은행들은 보유한 달러를 가지고 금을 폭풍적으로 매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월 미국 CPI를 확인해 봐도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진정될 소지는 전혀 보이지 않고 있어, 금 값 상승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판단하고 있는데요.
24.3.21(목) 금 값 온스당 2,184$
JP모건체이스 "금 값 온스당 2500$"
씨티 "금 값 온스당 2300$"
헤리우스(귀금속 업체) "중요한 저항선인 2050$를 넘어서면 폭등할 가능성도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 금 값 보다 향후 10~30%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는데, 예측은 언제까지나 예측일 뿐~ 앞서 설명한 것처럼 금 값의 MDD가 무려 -61.78%에 달할 정도로 등락폭이 주식, 채권이 비해 크기 때문에 투자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오를 가능성 있더라도 그만큼 크게 떨어질 수 있고, 금은 물가 상승 시 헷지수단으로 활용하며 자산의 일정부분만 투자하는 것이 정석이라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
4. 금 투자 5가지 방법
금 투자방법은 크게 5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현물자산 구입
직접 골드바를 구입해서 보관하는 것입니다.
장점 : 환금성이 좋다. 재산세 X
단점 : 10% 부가세가 붙는다. 분실 위험이 있다. 보관하기 힘들다.
금 통장
통장에 돈을 입금하면, 그 금액만큼 금을 은행에서 자동매입 합니다.
장점 : 쉽다. 수시 입출금 가능. 소액투자 가능
단점 : 금 가격 결정이 복잡(국제 금시세, 원/달러 환율 등등), 매매차익 시 15.4% 배당소득세 부과, 수익 2,000만 원 초과 시 금융소득과세 대상
금 펀드 투자
금은 물론, 금을 생산(채굴)하고, 가공하는 회사 등에 간접적으로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 금 값 상승 시 동일 업종 상승으로 수익률 보장, 하락 시 분산투자로 리스크 헷지
단점 : 매매차익 시 15.4% 소득세 부과, 높은 펀드매니저 수수료, 실시간 매수/매도 불가능
금 ETF
금 펀드와 비슷한데, 주식처럼 실시간 매수/매도가 가능합니다.
장점 : 실시간 매수/매도 가능, 주식과 펀드 장점조합
단점 : 매매차익 15.4% 소득세 부과
KRX금현물 계좌
증권사 금현물 계좌 개설을 통해 KRX 한국거래소와 금현물 거래를 통해 투자합니다. 현물 거래이기 때문에 증권사에서 대신 금을 보관해 줍니다.
장점 : 소액투자 가능. 소득세나 매매차익 비과세 적용. 매매차익 금융소득 종합 대상에 포함되지 않음. 저렴한 수수료
단점 : 현물 신청 시 10% 부가세 적용. 보관수수료 적용(극히 적음)
저는 개인적으로 세금이 전혀 붙지 않고, 소액투자 가능, 거래가 용이한 KRX금현물 계좌를 추천드리고, 연금계좌나 ISA계좌를 통해 포트폴리오 운영 시에는 금 ETF를 추천드립니다.
5. 금 투자 마무리
제가 생각하는 금 투자. 금은 확실한 인플레이션을 헷지 할 수 있는 수단입니다. 하지만, 금에 올인해서 투자하기엔 변동성과 수익률, 그리고 위험성이 높은 자산이라 생각합니다. 지속적인 우상향을 그리고 있는 자산은 금보다 수익률이 좋고 안전한 주식, 채권, 부동산 등 다양한 자산이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개인적으로 지금 금 값은 많이 올라왔다 생각하고, 물론 더 오를 수도 있지만 금리 하락 시기에는 약간의 조정이 있지 않을까 합니다. (과거 사례를 참고한 개인적 생각일 뿐입니다. 더 크게 올라갈 수도 있으니 본인의 깊은 고민과 통찰을 통해 투자를 진행하시길 부탁드립니다) 금 값 추이를 한번 잘 살펴보시고, 성공적인 투자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지금까지 100억 부자가 될 경제킹 루아빠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투자 인사이트 > 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너스 수익률? 바로 당신의 심리가 문제! <심리의 함정> (0) | 2024.03.27 |
---|---|
당신이 부자가 되지 못하는 이유 <자본주의> (0) | 2024.03.26 |
부자가 되고 싶어? 그럼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 전략으로! (0) | 2024.03.21 |
'덥거나 춥거나 상관없다' 올 웨더 포트폴리오(All wether portfolio) 전략 (0) | 2024.03.20 |
'딜' 박는 탱커! 영구 포트폴리오(Permanent Portfolio) 전략 (0) | 2024.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