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안녕하세요. 100억 부자가 될 경제킹 루아빠입니다. 오늘은 포트폴리오 전략 중에서도 탱커인데 '딜'도 잘 박는 딜탱! 영구 포트폴리오 투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영구 포트폴리오 개념
영구 포트폴리오 개념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영구 포트폴리오 란? 1980년 대 해리 브라운이 만든 전략으로 아직까지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투자 전략입니다. 영구 포트폴리오의 핵심은 상관관계가 낮은 4개의 자산군에 골고루 투자를 하여, 어떠한 경제 상황이 와도 대응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전략입니다.
우선 영구 포트폴리오를 이해하려면, 경제 상황에 대한 4가지 상황을 알아야 하는데요. 아래표를 보며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 채권 | 금 | 현금 | |
경제상황 좋고, 물가 상승 | 굿 | 배드 | 굿 | 배드 |
경제상황 좋고, 물가 하락 | 굿 | 굿 | 배드 | 배드 |
경제상황 나쁘고, 물가 상승 | 배드 | 배드 | 굿 | 굿 |
경제상황 나쁘고, 물가 하락 | 배드 | 굿 | 배드 | 굿 |
주식은 물가 상황과 상관없이, 경제 상황이 좋아야 오르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채권은 경제상황과 달리 물가와 관련이 있는데요. 물가가 하락하면, 금리가 낮아지고, 채권가격이 오릅니다.
*이것만 기억하세요. 채권은 금리가 하락하면, 가격(가치)이 오르고, 금리가 상승하면, 가격(가치)이 내립니다.
금은 물가가 상승하면, 가격이 오릅니다. 경제 상황과는 큰 연관성이 없습니다.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
현금은 경제상황이 나빠져, 주식이 폭락할 때 현금 들고 있는 사람이 최고입니다.
해리브라운은 이렇게 이야기 했습니다. "미래 가격을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 마디로, 어떠한 경제상황이 발생할지 누구도 감히 예측을 할 수 없는 것이지요. 우리가 일주일 뒤에 당장 무엇을 먹을지도 모르는 상황인데, 복잡한 경제상황을 우리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그래서, 어떠한 시기든 잃지 않는 투자를 하기 위해 해리 브라운이 만들어 낸 투자법이 바로 주식 25%, 채권 25%, 금 25%, 현금 25% 비중으로 투자하는 영구 포트폴리오입니다.
2. 영구 포트폴리오 기대 수익률, MDD
그렇다면, 영구 포트폴리오의 기대 수익률과 MDD는 어떻게 될까요?
예시 1. 전체 자산시장에 투자 시(1978.1~2024.2)
우선 미국 주식 전체, 장기 채권(20년 이상), 골드, 현금을 1978년 1월부터 현재까지 보유했을 때 수익률은 연평균 7.91%, MDD는 -15.58%입니다. 꽤 준수한 연평균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는데, 최대 하락은 -15.58%에 그치면서 상당한 방어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예시 2. ETF 투자 시(SPY, TLF, GLD, CASH / 2005.1 ~2024.2)
ETF로 투자했을 때 어떠한 수익률을 보여주는지 확인해 봤습니다. ETF 출시 등으로 인해 2005년부터 백테스트가 가능했는데요. 연평균 수익률은 6.42%로 예시 1에 비해 1.5% 낮은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대 하락폭(MDD)은 비슷한 수치인 -15.63%에 그치며 ETF 투자 시에도 상당한 방어력을 보여주고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S&P500과 비교
2008년 금융위기 때, 급격히 하락한 S&P500 지수에 비해 영구 포트폴리오(파란색)는 굉장히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코로나19에도 마찬가지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탱커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는데요.
영구 포트폴리오는 2008년에는 금융위기 때 + 수익률을 기록하는 놀라운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2022년은 주식과 채권이 동시 폭락한 유례없는 시기 였는데요. 그래서 주식과 채권에 투자하는 전략인 60/40 포트폴리오는 이 때, 처참한 수익률을 기록하였습니다. 하지만 영구 포트폴리오는 이 때도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2013년, 2015년의 경우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는 등 주식시장과는 조금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전체적인 수익률을 살펴봐도 나름 안정성이 느껴지지만, 내 돈을 지키는 선천적인 탱커이다 보니 수익률 부문에서는 약간 부족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3. 영구 포트폴리오 투자방법
ETF를 통한 영구 포트폴리오 투자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 주식 : S&P500 ETF(SPY, VOO) 또는 미국전체(VTI 등) 25%
- 채권 : 미국 20년 이상 장기채(TLT), 10년(IEF) 25%
- 금 : 금 ETF(GLD, IAU) 25%
- 현금 : 현금 또는 초단기 채권(SHY) 25%
- 방법 : 일정기간(1년 or 6개월 or 3개월) 후 리밸런싱
다음과 같은 비율로 매수한 후 일정기간 후 리밸런싱을 진행해 주시면 됩니다.
리밸런싱을 예를 들어보면, 24년 3월 18일에 1억 원을 가지고, 영구 포트폴리오(각각 25%)로 투자를 진행 했다면, 1년 후(또는 6개월, 3개월 가능) 25년 3월 18일에 각자산별 매수, 매도를 통하여 25%의 투자비율을 맞춰주시면 됩니다.
<예시>
24년 | 25년 | 비율 | 리밸런싱 비율 | 리벌런싱 후 자산 | |
주식 | 2500만원 | 4000만 원 | 35% | -1125만원 | 2875만 원 |
채권 | 2500만원 | 2000만 원 | 17% | +875만원 | 2875만 원 |
금 | 2500만원 | 3000만 원 | 26% | -125만원 | 2875만 원 |
현금 | 2500만원 | 2500만 원 | 22% | +375만 원 | 2875만 원 |
표를 살펴보면 25년에 주식과 금의 비중이 25%를 넘고, 채권과 현금은 비중이 25%에 비해 낮아졌습니다. 그럼 주식과 금을 팔아 채권과 현금을 사줍니다. 그리고 25%에 동일하게 맞춰주기만 하면 됩니다. (참 쉽죠?)
4. 영구 포트폴리오 장점과 단점
영구 포트폴리오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장점은?
- 초보자도 운용하기 쉽다
- 다양한 경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 경기 하락기에도 자산을 방어한다
초보자가 운용하기 아주 쉽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경제상황이 닥쳐와도 끄떡없습니다. 위 그래프를 봐도 금융위기, 코로나19 상황에서 영구 포트폴리오 투자자는 마음 편한 생활을 보냈을 거라 예상이 가능할 정도로 경기 하락시기에 방어력이 아주 뛰어납니다.
퓨어 탱커인 예/적금과 비교하기에 -15% 달하는 MDD는 생각보다 높을 수 있다 생각할 수 있지만, 연평균 기대 수익률을 6~8%까지 기대해 볼 수 있을 때 그리 높은 MDD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단점의 경우
- 생산성이 없는 금의 비중이 높다
-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때 수익률 방어가 힘들어진다
- 기대 수익률이 낮다
단점은 워런버핏 옹이 투자의 대상으로 가치가 없다 생각하는 금의 비중이 25%나 될 정도로 높습니다. (효용성이 없는 자산으로 이자를 주지도 않고, 배당도 하지 않는 투자 가치가 없는 자산이라 평가) 그리고 2013년, 2015년 수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걸 보면 알 수 있을 정도로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때에는 수익률 방어가 힘들어집니다. 주식시장에 비해 기대 수익률이 낮은 것도 하나의 단점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5. 투자대상
영구 포트폴리오를 투자하기 적합한 대상은 안정적 수익을 추구하고 싶은 사람들, 하락기에 마음 졸이지 않고 편하게 자고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을 해주고 싶습니다. 사회 초년생(20대 초~30초)은 조금 더 공격적인 투자를 추천하고, 어느 정도 자산을 형성하고, 연령이 있으신 분들은 리스크를 크게 가져가면 안 되기 때문에 영구 포트폴리오를 선택하는 것도 괜찮다 생각합니다.
딜까지 되는 탱커! 영구 포트폴리오~ 안정적인 투자를 원한다면 한번 백테스트를 통해 전략을 살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투자는 개인의 판단과 고민에 의해 선택하여야 합니다.)
지금까지 100억 부자가 될 경제킹 루아빠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투자 인사이트 > 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가 되고 싶어? 그럼 한국형 K-올 웨더 포트폴리오 전략으로! (0) | 2024.03.21 |
---|---|
'덥거나 춥거나 상관없다' 올 웨더 포트폴리오(All wether portfolio) 전략 (0) | 2024.03.20 |
탐욕이 넘치는 비트코인, 과연 투자의 기회인가? 위험의 전조인가? (0) | 2024.03.16 |
포트폴리오 투자 개념과 구성 방법, 종류, 장/단점 정리 (0) | 2024.03.12 |
초보자, 재테크 시작을 위해 반드시 읽어야 할 추천 도서 3 (0) | 2024.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