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안녕하세요. 100억 부자가 될 경제킹 루아빠입니다.
오늘은 4% 법칙(연 지출의 25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4% 법칙이란?
일명 트리니티 연구라 불리는 이 법칙은 트리니티 대학에서 근무하는 세 교수의 논문에서부터 시작합니다.
은퇴한 후 매년 순자산의 얼마 정도를 지출하면 죽을 때까지 일하지 않을 수 있을까?
해당 질문에서 시작한 연구는 현재 '은퇴의 법칙'처럼 굳어지며 유명세를 떨치게 되었는데요. 자산의 몇 %를 지출하면 다시 직장에 재취업하지 않고, 파이어를 유지하며 살 수 있을까요?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순자산의 4%만 지출한다면 평생 취업 걱정 없이 살 수 있다고 합니다. 이걸 우리는 4% 법칙이라 하는데요.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제가 매달 300만 원이 필요합니다.(1년이면 3600만 원)
300만 원에 4% 법칙을 적용하여 은퇴하려면 순자산이 얼마나 있으면 될까요?
간단합니다. 연 지출에 25배를 곱해주기만 하면 필요한 순자산을 구할 수 있습니다.
연 지출(300만 원 X 12개월 = 3600만 원) X 25배 = 9억
9억의 자본이 있다면, 4%의 법칙에 의하여 매달 300만 원을 쓰고, 순자산 고갈 걱정 없이 평생을 살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법칙에 대한 근거는 어디에서부터 나오게 되었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 트리니티 연구 자료
표를 보며, 설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주식 100%로 투자 시 매년 지출 비중과 생존 가능성(단위 : %)
구분 | 3% | 4% | 5% | 6% | 7% |
15년 | 100 | 100 | 100 | 91 | 79 |
20년 | 100 | 100 | 88 | 75 | 63 |
25년 | 100 | 100 | 87 | 70 | 59 |
30년 | 100 | 95 | 85 | 68 | 59 |
② 주식 75%, 채권 25%로 투자 시 매년 지출 비중과 생존 가능성(단위 : %)
구분 | 3% | 4% | 5% | 6% | 7% |
15년 | 100 | 100 | 100 | 95 | 82 |
20년 | 100 | 100 | 90 | 75 | 61 |
25년 | 100 | 100 | 85 | 65 | 50 |
30년 | 100 | 98 | 83 | 68 | 49 |
③ 주식 50%, 채권 50%로 투자 시 매년 지출하는 비중과 생존 가능성(단위 : %)
구분 | 3% | 4% | 5% | 6% | 7% |
15년 | 100 | 100 | 100 | 93 | 79 |
20년 | 100 | 100 | 90 | 75 | 55 |
25년 | 100 | 100 | 80 | 57 | 37 |
30년 | 100 | 95 | 76 | 51 | 17 |
④ 주식 25%, 채권 75%로 투자 시 매년 지출하는 비중과 생존 가능성(단위 : %)
구분 | 3% | 4% | 5% | 6% | 7% |
15년 | 100 | 100 | 100 | 89 | 79 |
20년 | 100 | 100 | 82 | 47 | 31 |
25년 | 100 | 93 | 48 | 24 | 15 |
30년 | 100 | 71 | 27 | 20 | 5 |
⑤ 채권 100% 투자 시 매년 지출하는 비중과 생존 가능성(단위 : %)
구분 | 3% | 4% | 5% | 6% | 7% |
15년 | 100 | 100 | 100 | 71 | 39 |
20년 | 100 | 90 | 47 | 20 | 14 |
25년 | 100 | 46 | 17 | 15 | 11 |
30년 | 80 | 20 | 17 | 12 | 0 |
트리니티 교수들은 1926~95년 미국 주식 및 채권의 데이터를 가지고 백데이터 실험을 돌렸습니다.
그 결과가 위의 데이터 인데요.
데이터를 한번 살펴보면, 자본을 채권 50%, 주식 50% 투자하고, 매년 4%를 지출했을 때 15, 20, 25년 동안 100% 자본을 지킬 수 있고, 30년은 98% 지킬 가능성 있다는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이 데이터에서 채권의 비중이 높으면 높을수록 생존 가능성은 떨어지는 데요. 이유는 채권의 수익률로는 4%의 지출을 감당해 내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투자 시 상관계수가 적은 주식과 채권에 나눠 투자한다면, 높고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고 예전부터 잘 알려져 왔습니다.
자, 그렇다면 이 데이터를 보고 제가 추론한 결과를 말씀드리면,
- 채권 25%, 주식 75% 투자했을 시 가장 결과가 좋고, 안전하다.
- 30년 기간 동안 지출은 3~4% 적당하다.
- 주식비중 투자가 작을수록 생존율이 안 좋다.
채권 25%, 주식 75%로 투자하고 지출은 4%로 하면 30년 후 자산이 고갈될 가능성은 고작 2% 미만입니다.
간단한 계산법으로 강력한 결과를 보장하는 4% 법칙. 은퇴를 위해서는 4% 법칙을 적용할 정도로 은퇴의 교과서라 불리던 이 법칙이 바로 이 트리니티 연구에 의해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
3. 4% 법칙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시대별 기대수명, 출처 : 통계청, 단위 : 세>
1970 | 1980 | 1990 | 2000 | 2010 | 2020 | |
전체 | 62.3 | 66.1 | 71.7 | 76.0 | 80.2 | 83.5 |
남자 | 58.7 | 61.9 | 67.5 | 72.3 | 76.8 | 80.5 |
여자 | 65.8 | 70.4 | 75.9 | 79.7 | 83.6 | 86.5 |
우리나라만 해도 90년대 기대수명은 71.7세, 현재의 기대수명 83.5세와 10년 이상이나 차이가 납니다.
이제는 30년이 아닌 40년, 또는 50년을 바라보고, 은퇴 자산을 다시 계산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는 인플레이션과 성장률 정체, 자산 가치의 하락 등 더 이상 4% 법칙은 통하지 않는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는데요. 그래서, 지출을 4%에서 3%로 하향하거나 아니면 조금 더 공격적인 투자를 통해 수익률 방어를 해야 은퇴가 가능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제가 생각해도 이러한 견해는 맞는 것 같습니다. 1995년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한 4% 법칙은 지금 시점을 반영하기에 상황이 너무 많이 바뀌었기 때문이죠.
4. 4% 법칙, 결론
4% 법칙에 대한 이해를 제대로 하지 않고, 무턱대고 4% 법칙만을 믿고 무분별하게 파이어를 외치는 사람들에 있습니다.
"아~ 이렇게 하면 4% 법칙으로 죽을 때까지 내가 일하지 않고, 살 수 있겠구나!"
이렇게 생각하면 다시 일거리를 찾아 직장으로 돌아갈 확률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4%의 법칙은 어떻게 활용해야 좋을까요?
우선 4%의 법칙은
- 1926년부터 1996년까지 데이터를 분석해 보니
- 주식 또는 채권에 자산을 투자하고 있으면
- 4% 이상의 수익을 볼 수 있다
데이터에서 기반한 법칙입니다. 그런데 30년이 아닌 40년 50년을 바라봐야 하고, 채권 가격이나 자산의 가치 하락으로 연간 4% 이상의 수익이 나지 않을 확률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기존의 상황을 적용해서 은퇴를 한다면 지출을 앞서 말씀드린 대로 3%로 하향하거나 4% 이상의 수익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면 되는 것입니다.
수많은 백테스트 결과로 연 수익률 4% 이상의 투자전략은 발에 차고도 넘칩니다. 기본적인 영구 포트폴리오(미국주식 25%, 미국장기채권 25%, 금 25%, 현금 25%)만 해도 아래와 같이 4%을 훨씬 넘는 수익을 보여줄 정도이니까요
영구 포트폴리오 지표(1970.1 ~ 2022.4)
초기자산(달러) | 최종자산(달러) | 연복리수익률(%) | MDD(%) |
10,000 | 727,896 | 8.5 | -12.7 |
저는 어느 정도 투자공부를 해서 4% 이상의 수익을 담보할 수 있다면, 4% 법칙을 기준으로 잡고 파이어를 해도 좋다는 의견입니다.
- 4% 법칙으로 파이어를 외쳐도 되는 사람 : 물가상승률보다 높게, 그리고 최대한 잃지 않는 투자를 목표로 하는 사람
- 4% 법칙으로 파이어를 외치면 안 되는 사람 : 투자에 대해 모르고, 예금이나 주식, 채권 하나에 몰빵 하려는 사람
저는 개인적으로 한국형 올웨더포트폴리오를 활용하여 기대수익률 8%에 달하는 안정적 투자를 지향하기 때문에 4% 법칙에 충족한다면 바로 파이어를 외칠 자신이 있습니다. (추후 포트폴리오와 자산배분, 리밸런싱에 대해 한번 자세히 포스팅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4% 법칙은 내가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한 최소한의 마지노선이라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는게 저의 결론입니다.
궁금하신 내용이나 어려운 내용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그에 대한 답을 전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의 성공투자를 응원하는 100억 부자가 될 경제킹 루아빠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투자 인사이트 > 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_25억 모으는 확실한 방법! (feat. 낙원계산기) (0) | 2024.02.27 |
---|---|
'이건 아니지!' 밸류업 프로그램 완벽 분석과 향후 전망 (4) | 2024.02.26 |
01_부자 시작하기, 부자의 자격과 목표설정 (0) | 2024.02.25 |
'밸류업 프로그램' 주주가치가 먼저다. 주주환원에 진심인 회사는? (0) | 2024.02.22 |
AI반도체 기업과 미래 전망, 그리고 투자 포인트는? (Feat. 엔비디아) (0) | 2024.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