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인사이트/투자 공부

초등학생, 우리 아이 용돈교육 방법 이렇게 시작하세요

by 경제킹 루아빠 2024. 3. 8.

 

[ 목차 ]

     

    썸네일

     

     

    안녕하세요. 100억 부자가 될 경제킹 루아빠입니다.

    고물가에 빡빡한 지갑사정~ 근데 경제관념이 없는 우리 아이... 자꾸 장난감을 사달라고 하네요? 지난번에 사준 장난감을 가지고 논지 1주일도 안 됐는데 말이죠.

    우리 아이 경제 관념을 키워주고 싶은데 어떻게 시켜야 할지 막막하시죠? 어떠한 교육보다 중요한 우리 아이 경제교육! 용돈교육으로 시작하면 됩니다.

    자, 경제킹 루아빠와 함께 우리 아이용돈 주는 방밥에서 관리법까지 한 번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우리 아이 용돈 주는 시기


    보통 용돈 교육의 시작은 특별한 날에 시작하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유치원 졸업, 초등학교 입학, 8번째 생일 등 어떤 날이든 좋습니다.

    아이야, 너는 이제 뭔가를 할
    특별한 시기가 되었다

     
    의미부여 만 할 수 있다면 언제라도 좋습니다. 중요한 건 너무 늦지 않게 시작할 것! 너무 늦어버리면 머리가 너무 커져 컨트롤이 쉽지 않다고 하네요. 그래도 시작할 때가 가장 빠른 법이니 무조건 시작하세요!

    경제킹 루아빠가 추천드리는 시기는 초등학생 입학이 가장 적절한 것 같습니다. 그래도 말귀도 알아듣고, 근래에 아이가 겪을 수 있는 가장 큰 이벤트이기 때문에 용돈 교육을 하기 좋은 환경이죠. 뭐 시기가 지났다고 해도 걱정하지 마시고 의미만 부여할 수 있다면, 중학생 입학, 중2 되었을 때 언제든 좋습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시작이 중요합니다.

     


    2. 적절한 용돈교육 방법


    그러면 용돈을 어떻게 주면 좋을까요? 유형에 따른 여러 방법이 있는데 각자 나름대로 장단점이 있습니다. 
     

    정기 용돈 : 정기적 주기를 통해 지급

     
    정해진 시기에 정해진 금액을 아이에게 지급합니다.
    예) 매주 월요일 2000원, 매월 1일 월 5000원

    장점 : 용돈계획 수립 및 관리가 쉽다.
    단점 : 정해진 금액에 만족, 수동적인 습관 형성

    예측가능한 용돈이 정해진 시기에 들어오기 때문에 아이가 계획을 세우기 좋지만 수동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나중에 회사원, 공무원 등 주기적인 급여를 받을 수 있는 안정적인 직업을 선택할 확률이 높습니다.
     

    성과 용돈 : 액션에 대한 보상으로 용돈 지급

     
    아이와 어떠한 액션을 했을때 성과를 약속을 하고, 지급합니다.
    예) 신발정리 500원, 책상정리 300원, 쪽지시험 100점

    장점 : 능동적인 생활습관 변화
    단점 : 모든 일에 성과를 요구 '이거 하면 얼마줄껀데?'

    아이가 모든 일을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지만 본인을 위한 일에도 성과를 요구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나중에 사업, 창업 등에 흥미를 느낄 가능성이 높습니다.

    선택형 용돈 : 아이의 요구에 선택적 용돈 주기

     
    아이가 필요한 것에 대한 요구를 했을 때 판단한 후 선택하여 용돈을 주는 방법입니다.
    예) 친구랑 저녁때 놀 건데 5000원만 줘, 나 옷가게 만 원만 줘

    장점 : 스스로 필요한 것 고민하고, 요구
    단점 : 거부 시 트러블 증가, 꼼수 발생 확률 업

    부모의 선택에 의해 용돈이 지급되기 때문에 아이는 필요한 것만 요구하는 습관이 생깁니다. 하지만 커가면 커갈수록 트러블은 깊어지고, 돈에 대해 좋지 않은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주로 프리랜서 형태의 직업을 선택할 확률이 높습니다.

    무한지급 또는 안 주기 : 절대 하지 마세요

     
    절대 하지 말아야 하는 내용입니다. 무작정 용돈 주기는 아이를 망치는 일입니다. 부모가 아이를 올바르게 이끌어가야 하는 의무를 망각하는 것입니다. 아이를 위해서 절대 좋지 않습니다. 안주는 것 또한 아이에게 중요한 경제 교육을 포기하는 행동입니다. 둘 다 절대 하지 마세요.


    3. 우리 아이 용돈교육 어떤 걸로?


    각 유형에 따라 장단점이 뚜렷하기 때문에 뭐가 좋다 이야기하기 어려운데요.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쓰는 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학년+1 : 초등학생 대상

     
    대표적인 용돈법으로 가장 많이 추천하는 방법인데요. 초등학생 입학 하자마자 매주에 학년에 1을 더해 주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면

    초등학생 1학년 + 1,000원 = 2,000원
    초등학생 2학년 + 1,000원 = 3,000원
    초등학생 6학년 + 1,000원 = 7,000원

     

    재벌용돈법 : 정기+성과+절제

     
    세계적인 재벌들의 자녀 용돈법입니다. 적은 금액의 정기 용돈을 주어 결핍을 느끼게 하고, 스스로 일을 하게 만들어 성과를 냈을 때 용돈을 추가적으로 지급하는 방법입니다.
     

    월마트 창업자 '샘 윌턴' 
     → 자녀들이 월마트에 나와서 일하게 하면서 대가로 용돈을 지급

    MS창업자 '빌 게이츠'
     →  매주 1달러 용돈 지급, 집안일을 도와주면 인센티브 지급

     

    하이브리드 용돈법

     
    저는 저의 딸에게 입학하자마자 용돈을 지급하며 경제교육을 시켰는데요. 매주 15,000원을 주고, 용돈 기입장에 사용내역을 작성하게끔 유도했습니다. 초등학생 1학년에게 주당 15,000원~ 너무 많게 느껴지시죠? 
     
    저는 딸에게 용돈 교육을 시작하기 전, 3개의 용돈 지갑을 제공했습니다.
    하나는 지문인식 금고, 하나는 평상 지갑, 하나는 복주머니입니다.

    - 딸에게 지급하는 15,000원  

    지문인식 금고(은행) : 미래를 위한 저축 습관 형성(5,000원)
    평상지갑(생활용 돈) : 무엇이든 마음대로 쓸 수 있고, 터치하지 않는 용돈(5,000원)
    복주머니(감사선물) : 받기만 하는 아이보다는 베풀 수 있는 아이로 성장했으면 해서 베풀기 위한 용돈(5,000원)

    - 그 외 명절, 생일, 어른들이 주는 특별용돈 

    지문인식 금고(은행) : 90% 저금
    평상지갑(생활용 돈) : 10% 사용 

    누군가가 딸아이에게 이쁘다고 만 원의 특별용돈을 준다면, 저의 아이는 그 돈의 90%인 9,000원을 금고에 저금하고, 1,000원을 마음대로 사용합니다. 

     
    그래도 초등학생 1학년에서 매주 5,000원은 많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아이에게 매주 5,000원, 한 달이면 2만 원을 지급하고, 아이의 욕망을 그 안에서 다 해결하고 있습니다.
     
    저는 식사는 챙겨 주지만, 간식은 사주지 않습니다. 본인이 먹고 싶은 간식은 본인 돈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저는 아이의 옷은 사주지만, 본인이 갖고 싶은 가방이나 액세서리는 사주지 않습니다. 본인이 원하는 외형적 치장도 본인 돈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저는 아이가 필요한 교육에
    비용을 아끼지 않지만, 태권도 학원에서 행하는 주말 행사(놀이동산 비용 등)는 내주지 않습니다. 본인이 가고 싶다면, 본인돈을 모으거나 저에게 돈을 빌려서 가야 합니다. (이자도 받습니다)
     
    교육 전에는 아이의 욕망을 채워주려 한 달에 (간식값, 장난감값 등) 적게는 10만 원 많게는 20~30만 원이 지출 되었습니다. 하지만, 용돈 교육 후에 아이의 용돈(주당 5천원, 한달 2만 원) 외 아이욕망을 위한 지출은 거의 전무한 상황입니다.


    <생생 후기> 
    특별용돈의 경우 10%를 받기 위해 제가 모르는 용돈도 누군가에게 받았다고 이야기하고, 10%를 얼른 떼서 사용합니다. 그냥 말하지 않고 100% 써도 되는데, 정말 우리 아이들 순수하죠? 그래서 용돈 교육은 빨리 시작해야 합니다. 
     
    처음에는 5천 원을 받자마자 그날에 바로 사용했습니다. 간식, 장난감 등등 그리고 나머지 6일을 결핍 속에 살아갔죠. ㅎㅎㅎ
    나중에는 친구들이 갖고 노는 인형이나 장난감을 사고 싶은데 5천 원으로는 턱없이 부족한 걸 느끼게 됩니다. 아빠와 엄마에게 사달라 조르지만, 아빠와 엄마는 매정하게 뿌리칩니다. 아이의 침울한 모습을 보면 마음이 찢어지지만, 아이의 교육을 위해 참습니다. 아이가 용도를 받자마자 5천 원을 다 쓰는 습관이 점점 줄어가고, 조금씩 돈을 모으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엄마가 당근으로 구매하는 것을 본 후 자기가 원하는 인형이 있는지 물어보고, 돈을 모아서 사기도 합니다. 
     
    초등학생 1학년인 저의 딸아이의 모습입니다. (지금은 2학년입니다.)
     
    처음에는 마음이 찢어지고, 주변에서 저의 부모님이나 장모님이 너무 그렇게 매정하게 키우면 안 된다라고 말씀하시고, 저도 많이 흔들렸습니다. 하지만 경제 교육은 확실히 시키고, 인&아웃의 개념을 확실하게 잡아주고자 1년 동안 매정하게 행동했습니다. 그 결과 아이는 돈과 소비, 그리고 저축 개념 형성이 잘 되었고, 저와 아내의 생일에는 카드와 함께 복주머니에서 현금 3만 원을 넣어서 통큰 선물도 주고, 친구의 생일 때는 평소에 친구가 좋아하던 것을 다이소에서 직접 사서 주기도 하였습니다. (딸아이에게 3만원을 생일선물로 받은 할머니는 초등학생이 뭔 이런 생각을 하냐며 놀라하셨습니다)
     
    물론 아직도 많이 부족합니다. 하지만, 용돈 교육을 앞으로 지속적으로 한다면, 경제적 시각은 완벽히 갖출 수 있다고 자신합니다.

    4. 맺음

     
    아이 용돈 교육의 핵심은 무조건 적인 절약이 아닙니다. 결핍을 통해 돈의 가치를 깨닫게 하고, 수입과 지출의 원리를 파악해 경제관념을 형성하게 하는 것입니다. 위에 말씀드린 용돈 관리법 중 어느 것을 선택하셔도 아이에게 좋은 습관을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님이 매주 함께 해야 된다는 것입니다. 부모님이 (아이가 불쌍해 매정하게 하지 못하여 추가지출을 한다던지, 제 날짜에 용돈을 안 준다던지, 용돈 기입장 확인 안 한다던지) 원칙을 무너뜨리면 절대 아이는 제대로 된 경제관념을 형성할 수 없습니다. 아무쪼록 우리 아이의 올바른 경제관념을 위해 늦지 않게 용돈 교육을 시작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지금까지 100억 부자가 될 경제킹 루아빠였습니다.